본문 바로가기

IT 제품리뷰

Synology DS920+ 구매 및 세팅 리뷰

안녕하세요 제가 기존에 사용하던 DS218+을 사용하다 이번에 NAS 를 갈아타면서의 경험을 공유드리고자 포스팅합니다.

 

제가 기존에 사용하던 기종은 시놀로지 DS218+ 였습니다.

그동안 고생한 DS218+

DS218+ 제품은 하드디스크가 2개 들어가는 2 Bay 제품이였고 플러스 제품이라 램을 별도로 추가해서 총 10GB (DDR3)로 그동안 사용해왔습니다.

 

기존 개발서버(헤놀로지)와 새로운 기기 DS920+

 

제가 시놀로지

DS920+ 로 기기를 변경한 이유는

가족 여러명이 사용하면서 점점 늘어나는 사진, 영상과 결정적으로 개발서버까지 별도로 운영하면서 전기세가 많이 나오고 공간도 많이 차지하여 하나로 통합하고자 기기변경을 진행하였습니다.

 

최근 구매하려고 가격을 알아보니 제가 218+ 구매했을 때 보다 너무 많이 올랐습니다. (물가상승 + 환율의 영향. 1400원)

그래서 번개장터에서 중고로 구매하였고, 4G 램(DDR4) 포함된 제품으로 구매하였습니다

 

 

 

저의 NAS DS920+ 구성은 

메인 하드디스크 6TB HDD

   영상과 토렌트용 2TB HDD

      백업용 외장하드 4TB HDD

 

NAS를 새로 구성하시거나 처음 구성하시는 분은

아래 사항들을 고려하셔서 구성하시면 좋습니다.

 

1. 전력소모

 - 하드디스크는 1개당 전력을 소비합니다. 1개의 큰 용량 하드디스크가 같은 용량이라도

    여러개로 하드디스크를 나눈다면 전력소모가 더 클 수 밖에없습니다.

 

2. 레이드 구성

 - Raid 구성이란 하드디스크 여러개를 1개처럼 합쳐서 쓸 수도 있고, 미러링(Mirroring)할 수도 있는데 레이드 구성을하면     추후에 용량이 꽉차면 더 큰 하드디스크로 바꿔야하는데 이때 마이그레이션이 단일 하드디스크보다 피곤한 편입니다.

 - 물론 읽기 쓰기 속도는 raid 를 통해 하드디스크를 하나처럼 묶어 쓸 때 빠릅니다.

 

3. 소음

 - 하드디스크 여러개를 쓰면 아무래도 시끄럽습니다.

 

4. 이중지출

 - 용량을 증량하려면 기존 하드디스크를 정리하고 또 새로 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.

 

 

 

아무쪼록 기존에 개발서버는 Docker를 여러개 썼는데 가져와서 새로 세팅한 DS920+로 잘 합쳤습니다.

개발서버가 없어지니 공간도 넓어지고 마음이 한결 편안해지네요 ^^